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 2022년 인상률 체크
    직업 2022. 1. 11. 13:37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 2022년 인상률

     

    이번 시간에는 2022년 공무원연금 인상률과 수령액 계산 방법에 대해서 살피려 합니다.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공무원연금 수령시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지급개시연령이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시기

     

    https://rjrldltdjwnffody.tistory.com/124

     

     

    2022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최종확정안 퇴직

     

    2022년 공무원 월급 인상률은 1.4%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퇴직 연금 인상률은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2021년 공무원연금 인상률은 0.5%였습니다. 그리고 그전인 2016년 ~ 2020년에는 0%였죠.

     

     

    그렇지만 수령액 인상률을 예상해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전년도 물가연동, 소비자물가지수를 확인하는 것이죠.

     

    2022년 공무원연금 인상률은 2021년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결정되게 됩니다. 그렇다면 작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떻게 될까요?

     

    21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02.50으로서 20년 대비 2.5%가 올라갔습니다.

     

     

     

    2022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그렇기 때문에 내년 공무원연금 인상 비율은 2.5%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상시기는 1월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

     

    19년 기준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은 한 달 240만원으로서 국민연금이 37만원인 것에 비하여 6배 넘게 갭이 발생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차이죠.

     

     

    공무원연금 최고 수령액 상한액

     

    18년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무원연금 최고 수령액은 720만원이었습니다. 이 사람은 전직 헌법재판소장이었습니다.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이 200만원대 수준인 것을 보면 3배 이상의 차이죠.

     

    공무원연금 상한액

     

    20년 기준 공무원연금 상한액은 한 달 848만원이었습니다. 국민연금은 한 달 486만원이었죠.

     

     

    공무원 유족연금 비율 배우자 지급 금액

     

    공무원연금 배우자 사망시 수령액 지급 금액은 얼마일까요? 부부가 같이 퇴직연금을 수령하다가 배우자 또는 본인 사망 후, 배우자 연금 60%의 1/2인 30%를 수령하게 됩니다. 당연히 자신의 연금은 그대로 받구요.

     

     

     

    공무원 유족연금 수령조건

     

    공무원 유족연금 수령조건은 해당 수급자가 사망시, 그 시점에서 부양가족이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출처 -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 수령시 세금

     

    공무원연금은 종합소득세가 부과되는 종류로서 다른 소득과 합쳐서 세금이 부과되게 됩니다. 그렇기에 종합소득세율을 알면 연금 수령시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연말정산 하기

     

    공무원연금 수급자도 연말정산 대상자입니다. 단, 연금소득이 1년 771만원을 초과할 시에만 소득/세액공제를 진행합니다. 

     

    공무원연금 평균기준소득월액

     

    연도별 공무원연금 평균기준소득월액은 다음 표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출처 -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 30년 연금 수령액 10년 근무 20년

     

    400만원 소득자의 공무원 30년연금 수령액은 20년 기준 232만원이었습니다. 국민연금보다 2.4배 높은 수치입니다. 

     

    계산 공식으로 10년, 20년 근무했을 때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알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기준소득월액 x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x 재직기간 x 연금지급률

    *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 10년 : 82%
    - 20년 : 92%
    - 30년 : 101%

    * 연금지급률
    - 21년 기준 1.79%

     

    이 방법으로 교육공무원연금 수령액, 경찰공무원연금 수령액 등 모두 구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 알아보기

     

    자 그렇다면 21년 기준 일반 공무원의 평균기준소득월액을 대략 490만원으로 잡고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럴 경우 공무원연금 10년 근무 수령액 계산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490만원 x 82% x 10년 x 1.79% = 약 72만원

     

     

    같은 방법으로 20년 근무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법도 해보겠습니다.

     

    490만원 x 92% x 20년 x 1.79% = 약 161만원

     

    공무원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예상 수령액 조회를 하려면 공무원연금공단으로 접속하시고 내연금보기(조회/신청)을 누르시고 로그인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공무원연금 감액기준 삭감 사유 

     

    나중에 퇴직을 하고 나서 소득 있는 경우 공무원연금 감액이 되는데요. 삭감기준은 퇴직 후 소득이 전년도 평균연금월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되는 부분에 대해서 일정 %가 감액되게 됩니다. 

     

     

    수급자 재취업 소득 한계 금액, 즉 20년 평균연금월액은 239만원이었는데요. 239만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 일정 %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관련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공무원연금공단

     

     

    댓글

Designed by Tistory.